안녕하세요.
미쁘다 솜입니다:)
한국어 평가론 - 언어 평가의 요건에 대한 용어를 정리 해보았습니다!
●용어 정리●
-
신뢰도: 측정의 일관성 또는 객관성을 일컫는 말임. 동일한 피험자를 대상으로 동일한 시험을 실시하였을 때 두 평가의 결과가 유사할수록 신뢰도가 높은 평가가 됨. 신뢰도란 평가도구(즉,시험)가 측정하는 과정과 방법에 일관성이 있는가, 측정의 오차가 얼마나 적은가, 또는 얼마나 객관성을 띨 수 있는가의 문제를 말함. Brown은 신뢰도가 있는 평가란 ‘일관되고 의존할 수 있는 평가’라고 말함. Bachman은 신뢰성이 있는 평가의 결과는 평가 상황 등의 시험이 갖는 여러 가지 요인에도 불구하고 항상 일관성을 지닌다고 보았음.
-
시험 신뢰도: 평가과정과 방법의 안정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동일 대상이 동일 조건으로 시험을 반복하였을 때 어느 정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가의 문제임. 이것은 많은 피험자들이 가능한 한 동일조건에서 자기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느냐에 문제, 즉 측정과정 또는 방법에 일관성과 객관성이 있느냐에 문제과 관련됨. 예를 들어 어느 듣기 평가에서, A학교의 경우에는 시험을 본 학생들은 주변의 환경이 조용하고 듣기시험을 실시하기 위한 매체의 기능 역시 뛰어나 녹음된 내용을 잘 들을 수 있던 것에 반하여 B학교에서는 시험을 본 학생들이 주변이 너무나 시끄럽고 매체 역시 제대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해 녹음된 음성을 정확히 듣지 못했다면 이러한 듣기 시험의 시험 신뢰도는 낮음. 따라서 시험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시험에 수반되는 제반 요인에 의해 수험자가 제대로 능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도록 유의하여야함.
-
채점 신뢰도: 채점자에 의한 채점의 일관성을 말함. 즉 어떤 채점자가 채점을 하더라고 채점의 일관성에 대한 문제가 없고 인간이 아닌 컴퓨터가 채점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채점의 객관성은 보장됨. 그러나 주관식 검사의 경우 정해진 답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채점자에 따라서 점수가 다르게 부여될 수도 있음. 이러한 채점 신뢰도는 개별적인 채점자에 의한 채점의 일관성인 ‘채점자 내 신뢰도’와 서로 다른 채점들 간의 채점의 일관성인 ‘채점자간 신뢰도’로 구별할 수 있음.
-
채점자 내 신뢰도: 개별적인 채점자에 의한 채점의 일관성. 한 채점자가 시간차를 두고 채점을 실시할 때, 이 채점의 일관성을 말함. 예를 들어 처음에는 엄격한 점수를 부여하다가 시간이 지난 후 관대한 점수를 부여, 채점시간이나 기분 등의 여러 요인에 따라 채점 결과가 차이를 보일 때 문제시됨.
-
채점도 간 신뢰도: 서로 다른 채점자들 간의 채점의 일관성. 채점자가 어떠한 특성에 더 많은 비중을 두고 있느냐에 따라서 또는 채점자의 기분이나 판단기준의 차이에 따라서 점수의 차이가 날 수 있음. 사전에 채점자간 공통된 확실한 채점 기준이 필요함.
-
실용도: 평가를 위한 경비, 시간, 노력의 경제성을 의미함. 이는 최소한의 경비, 노력, 시간을 들여 최대한으로 평가 목표를 달성하는가의 문제임. 따라서 평가의 실시와 채점이 용이하고, 평가를 위한 경비, 시간, 노력이 적게 들고, 평가 결과의 해석이 용이해서 그 결과를 유효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면, 이 평가는 실용성이 있는 평가라고 봄. 즉, 평가는 경제성, 시간제한, 그리고 관리, 채점, 해설의 용이함을 감안하여 실용적이어야함. 실용도가 있는 평가도구이기 위한 몇 가지 조건은 1) 평가실시의 용이, 2) 채점의 용이, 3) 해석의 용이 그리고 4) 경제성 등임.
-
역류효과: 평가를 하고 평가 결과를 사용하는 것이 개인과 사회, 교육체계에 갖는 효과를 말함. 어떤 평가의 내용과 방법이 오히려 그 해당 교과의 교육, 즉 학습의 내용과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것임. Brown은 학생들이 자신의 장점과 단점을 알 수 있도록 평가 결과를 기술하여 줌으로써 평가의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말함.
'한국어 교육 > 한국어 평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 평가론/ 한국어 능력 평가의 역사 (0) | 2020.04.08 |
---|---|
한국어 평가론/ 한국어 평가 요건3 (0) | 2020.04.07 |
한국어 평가론 / 한국어 평가 요건2 (0) | 2020.04.05 |
한국어 평가론/ 언어평가의 종류 용어정리 (0) | 2020.03.30 |
언어 평가의 개념과 목적 / 용어 정리 (0) | 2020.03.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