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미쁘다 솜입니다:)
'한국어 평가론' 교재에서
제1장 언어 평가의기초- 언어평가의 개념 및 목적 단원 내에서
용어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한국어 교육 선생님들 파이팅~~:)!
●용어 정리●
-
평가: 어떤 의사결정을 하기 위하여 특정 사물이나 사람, 즉 대상에 대해 가치 판단을 내리는 행위임. 언어학습에서의 평가는 교수와 학습을 연결시키는 매우 중요한 과정임. 평가는 시험(examination), 검사(testing), 사정(assessment), 평가(evaluation), 측정(measurement) 등 다양한 용어로 표현하는데 용어에 따라 의미에 차이가 있음.
-
검사(testing): 주로 객관적인 지식에 대해 단시간에 실시되는 도구나 절차를 의미함. 공인된 도구를 통하여 평가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검사’라는 용어를 사용함. 예를 들어, ‘성격검사’, ‘적성검사’등 심리학 분야의 다양한 검사 등이 있음. ‘test’는 ‘검사’ 자체를 의미할 때도 있으나 보통은 검사를 위한 ‘검사지’를 의미하는 경우가 많음. (assessment’의 한 단면이 ‘testing’이라 할 수 있음)
-
사정(assessment): 검사(testing)보다 많은 영역을 포괄하며 객관적인 지식 뿐만 아니라 주관적인 수행을 대상으로 장기간에 걸쳐 실시된다는 점이 다름. 예를 들어, 실제 교육 분야에서 ‘입학 사정회’, ‘졸업 사정회’, ‘성적 사정회’ 등을 있음.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입학에 필요한 자격이나 요건을 갖추었는지, 졸업을 하기 위한 조건을 갖추었는지, 학기말이나 학년말에 정해진 학습 목표에 도달했는지 등을 판단하는 행위임.
-
평가(evaluation): ‘evaluation’이라는 용어가 넓은 의미의 평가로 정의되었으나 ‘가치(value)판단’이라는 의미가 함축되어 있음. 언어학습에서의 평가(evaluation)는 수험자의 능력에 대한 평가 라기보다는 ‘교육자체에 대한 평가’를 의미함.
-
측정(measurement): ‘측정’을 의미하며, 파악된 능력을 수치로 표시하는 수량화 작업과 검증을 내포함.
-
언어 평가: 언어 평가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것은 언어 학습자의 언어능력임. 언어가 가지고 있는 사회언어학적 의미를 포함해서 의사소통의 내용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것이 언어학습의 목표라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언어학습의 목표달성을 위해 학습자가 자신의 의사, 느낌, 생각 등을 표현하는 데 얼마나 적절하게 효과적으로 언어를 사용할 수 있는가를 측정하는 것을 언어 평가라고 할 수 있음.
-
언어 능력 및 적성의 진단(diagnosis)과 피드백(feedback): 언어 평가의 목적 중 하나로 언어 평가는 기본적으로 진단과 피드백을 목적으로 함. 한국어 학습자 또는 학습자 집단의 강점과 약점을 정밀하게 진단하여 어느 부분의 학습이 필요한지 알려줌. 예를 들어, 한 학생이 진단검사를 통해 좋은 발음과 훌룡한 언어 구사력은 지니고 있으나 독해에는 약한 점수를 얻었다면 독해 학습이 더 보충되어야 한다는 결과를 보여줌. 다시 말해, 학습자의 언어 수행에 내재한 취약한 부분을 알아내고 판별하는데 도움을 줌.
-
학습자 선발(selection): 언어 평가의 가장 현실적인 목적 중 하는 당락 구분(pass or failure)임. 이러한 언어 평가의 목적은 어떤 집단 내에서 학습자가 앞으로 행하게 될 과제수행능력을 결정하거나 어떤 교육 프로그램에 학습자를 참여시킬 것인지 결정하기 위한 것임. 예를 들어, 언어 적성검사의 경우 언어 학습에 있어 학생의 성공이나 실패를 예견해 줄 수 있는 여과와 선발기능을 하는데 이를 통해 언어 학습 프로그램의 참여 여부를 결정할 수 있음.
-
배치(placement): 언어 평가를 통하여 학습자 개개의 수행 수준을 식별하고, 그 학습자를 적절한 수준의 교육프로그램에 배치하기 위해 사용됨. 예를 들어, 한국어 교육기관에서 교육 프로그램 시작 단계에 실시하여 그 성적 결과에 따라 학습자를 초급, 중급, 고급반으로 배치하는 시험의 기능이 이에 속한다고 할 수 있음.
-
교육 프로그램 평가(program evaluation) 및 개선: 언어교육과정이 끝난 후 그 과정에 대한 평가를 의미함. 언어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사용되므로 집단의 평균성적이 중요함. 그 예로서 성취도 평가가 있으며 시험의 결과로서 ‘얼마나 프로그램이 잘 되었는가’를 결정할 수 있음. 이러한 프로그램을 평가할 목적으로는 형성평가와 총괄평가가 사용 될 수 있는데 형성평가는 수업과정 중에 실시되는데 학생들에게 각자의 부족한 부분과 보완이 필요한 곳을 보여주며 총괄평가는 일정기간의 수업 과정이 끝난 후 실시되며 평가의 결과로 서열을 매길 수 있음.
'한국어 교육 > 한국어 평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 평가론/ 한국어 능력 평가의 역사 (0) | 2020.04.08 |
---|---|
한국어 평가론/ 한국어 평가 요건3 (0) | 2020.04.07 |
한국어 평가론 / 한국어 평가 요건2 (0) | 2020.04.05 |
한국어평가론/ 언어 평가의 요건 (0) | 2020.04.02 |
한국어 평가론/ 언어평가의 종류 용어정리 (0) | 2020.03.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