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어 교육/한국어 평가론

한국어 평가론/ 언어평가의 종류 용어정리

by 미쁘다솜 2020. 3. 30.

안녕하세요.

미쁘다 솜입니다:)

 

'한국어 평가론' 교재에서

제1장 언어 평가의기초- 언어평가의 종류 

용어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한국어 교육 선생님들 파이팅~~:)!

 

 

 

용어 정리

 

  1. 객관식 평가: 미리 결정된 해답을 사용하므로 채점자의 주관적인 판단이 요구되지 않으며, 각 문항에 대한 정답이 일정함. 그러므로 교사나 그 외 다른 사람이 채점할 수도 있고, 언제나 채점해도 일정한 점수가 나오며, 기계(컴퓨터)에 의한 채점이 가능함. 그 예로는 다지 선다형 이해 시험, 진위형 시험, 짝짓기 연결 시험, 단답 완성형 등이 있음.

  2. 주관식 평가: 채점자의 통찰력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채점되며, 단 한 개의 정답이 있는 것이 아님. 짧은 작문이나 즉석 면접에 있어서는 채점자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채점되고 심지어는 같은 채점자라고 하더라도 상이한 상황에서 다시 채점할 경우에 그 점수가 달리 나오기도 함. 예를 들어 자유작문 시험, 면접과 같은 의사소통 수행 시험을 생각할 수 있음. 주관식 평가도 상당히 공정하고 객관적인 채점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임.

  3. 직접 평가와 간접 평가: 직접 평가는 학습자의 언어 수행능력을 직접적으로 측정하는 것을 의미하며, 예로 구두시험이나 작문시험이 있음. 간접 평가는 학습자의 언어수행 능력을 간접적으로 포착하거나, 간접적인 언어지식을 측정하는 평가를 의미하며 그 예로서 지필 평가의 대표적인 다지선다형 시험이나 빈칸 채우기 등을 들 수 있음.

  4. 분리 평가: 대개 목표언어의 매우 제한된 분야의 지식이나 능력을 측정하도록 고안된 것으로, 예를 들어 통상적인 다지선다형 문법시험, 괄호 안에 알맞은 전치사 넣기, 문장의 변형이 있음. 분리 평가는 언어를 부분적인 구성성분으로 분리할 수 있다는 입장이며, 그 구성성분을 정확히 측정해야 한다는 가정 하에 평가 도구가 작성되었음. 언어를 네 기능(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을 기본 구성요소로 하여, 각 기능 안에 언어의 다양한 계층적 단위(음운, 형태, 어휘, 통사)와 그 단위의 하위 범주를 둠. 예를 들면, 문법, 어휘, 독해 등과 같은 항목으로 구분.

  5. 통합 평가: 보다 다양한 언어 능력을 동시에 포착하는 것으로, 학습자의 언어능력을 한꺼번에 종합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임. 전반적으로 평가하여 학습자의 보다 종합적인 언어능력을 파악하기 위한 것. 그 예로 무작위적인 빈칸 메우기, 듣기와 쓰기의 통합형태로 받아쓰기, 듣기와 말하기의 통합 형태로 구두시험 등이 있음.

  6. 준거 지향 평가: 준거 지향 평가는 임의로 정해진 교수 목표에 학습자의 언어능력이 부합되는지 평가하는 것으로, 기준이나 당락 점수(대개 전체 점수의 80~90%)가 미리 결정되어 있어, 학생들은 그 기준에 미치지 못하면 실패함. ‘절대평가라고 불리기도 함. 그 예로 우리나라의 운전면허 시험이나 검정고시가 있음. 학생들은 다른 학생의 성적과 비교되어 평가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학습정도나 미리 정해진 절대적 기준에 따라 평가받음.

  7. 규준 지향 평가: 표준화 시험 방법으로 시험이 출제되고 관리된 후 합격 가능성이 정해지는 것을 말함. 어떤 표본에서 평균 점수를 참조하여 평균 기준이 정해짐. 평가의 변별력을 위하여 쉬운 문제, 어려운 문제가 함께 출제되어야 하며, 평가된 결과가 곡선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임. ‘상대 평가를 의미하며, 그 예로 교육 목표에 의해 미리 정해진 성취기준이 아니라 단순히 학생들의 성적 분포에 의해 , , , , 의 성적을 부과하는 방식을 들 수 있음.

  8. 속도평가: 학습자의 언어수행의 유창성에 중점을 두고, 주어진 시간 내에 얼마나 많이 풀어내는지를 측정하는 수행속도 비교되는 평가임. 그 예로 다량의 쉬운 단어로 구성된 독해력 시험이나 수학능력 시험 등을 생각 할 수 있음.

  9. 역량평가: 학습자에게 문제를 풀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을 주지만, 소수의 학습자만이 모든 문제를 맞힐 수 있도록 어려운 항목을 포함시킴. 이 평가는 학습자 언어능력이나 지식의 정확성 측면에 중점을 두고 있어서, 시간이 충분히 주어져도 정답을 알지 못 할 가능성이 있다. 그 예로서 주관식 문제, 수학 문제, 학력고사문제를 들 수 있음.

댓글